다음은 외부로 ssh접속하는 예이다.
접속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계정은 @나 -l옵션으로 지정한다.
[kang@ns 일기]$ ssh kang@dev2.dbakorea.pe.kr
The authenticity of host 'dev2.dbakorea.pe.kr (211.41.23.252)' can't be established.
RSA key fingerprint is 17:77:be:5d:d2:c9:8d:d9:a5:70:27:bf:5c:9c:95:cc.
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(yes/no)? yes [처음 ssh연결시에만 표시된다]
Warning: Permanently added 'dev2.dbakorea.pe.kr' (RSA) to the list of known hosts. .ssh디렉토리의 known_hosts2파일에 dev2호스트가 등록됨
kang@dev2.dbakorea.pe.kr's password:
Last login: Sat Jul 14 22:38:48 2001 from 211.222.174.13
[kang@dev2 kang]$ l
[kang@ns 일기]$ ssh kang@dev2.dbakorea.pe.kr
kang@dev2.dbakorea.pe.kr's password:
Last login: Sat Jul 14 23:22:30 2001 from 211.41.23.236
[kang@dev2 kang]$
[kang@dev2 kang]$ exit
logout
Connection to dev2.dbakorea.pe.kr closed.
[kang@ns 일기]$ ssh -l kang dev2.dbakorea.pe.kr @대신 -l 옵션으로 지정해도 된다.
kang@dev2.dbakorea.pe.kr's password:
Last login: Sat Jul 14 23:25:54 2001 from 211.41.23.236
다음은 로컬에 존재하는 파일을 외부호스트에 복사하는 예이다.
[kang@ns 학습할 것]$ scp make.txt kang@dev2.dbakorea.pe.kr:test
[로컬에 있는 make.txt파일을 외부호스트dev2의 test디렉토리에 복사]
kang@dev2.dbakorea.pe.kr's password: 비밀번호 입력
make.txt 100% |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| 70276 00:00
다음은 외부호스트에 존재하는 sample1.pc파일을 로컬로 복사하는 예이다.
[kang@ns kang]$ scp kang@dev2.dbakorea.pe.kr:test/sample1.pc .
kang@dev2.dbakorea.pe.kr's password:
sample1.pc 100% |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| 2352 00:00
사실 외부호스트와 계정이름이 동일하다면 계정을 지정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.
[kang@ns kang]$ scp dev2.dbakorea.pe.kr:test/sample1.pc .
kang@dev2.dbakorea.pe.kr's password:
sample1.pc 100% |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| 2352 00:00
[kang@ns kang]$
하위디렉토리까지 모두 복사하고 싶으면 cp명령어와 마찬가지로 -r옵션도 사용가능하다.
다음은 ftp기능을 해주는 sftp를 사용하는 예이다.
[kang@ns 학습할 것]$ sftp kang@dev2.dbakorea.pe.kr ssh명령과 유사하다.
Connecting to dev2.dbakorea.pe.kr...
kang@dev2.dbakorea.pe.kr's password: 비밀번호입력
sftp> put gcc1.txt
Uploading gcc1.txt to /home/kang/gcc1.txt
sftp> get smsgw.log
Fetching /home/kang/smsgw.log to smsgw.log
sftp>
= Secure Shell관련사이트 =
OpenSSH (www.openssh.org)
가장 유명한 SSH사이트
유닉스계열 OpenSSH사이트 - 원래 FreeBSD용이나, 다른 OS에 포팅하는 개념으로 제공
FreeSSH (http://www.freessh.org/)
무료로 사용가능한 SSH툴들의 정보를 제공
Networkdimplicity (http://www.networksimplicity.com/openssh/)
윈도용 OpenSSH사이트. Openssh.org의 윈도버전 사이트
= 윈도 SFTP 클라이언트(ftp기능) =
1. Cuteftp Pro(www.globalscape.com)
상용 - 제일 좋다.(ftp, sftp, ..)
2. WinSCP(http://winscp.vse.cz/eng)
무료 - 모든 윈도버전에서 사용가능(XP제외..). ssh서버만 사용가능. 인스톨 과정 없음
3. Secure iXplorer(http://i-tree.org/ixplorer.htm)
무료 - ssh서버만 사용가능. 인스톨 필요
= ssh클라이언트(telnet기능) =
1. SecureCRT(www.vandyke.com)
상용 - 제일 좋다.
2. PuTTY(http://www.chiark.greenend.org.uk/~sgtatham/putty/)
무료 - 무료치고는 상당히 괜찮다.(권장). telnet, ssh모두 지원. 인스톨 필요 없음
3. Tera Term Pro(http://hp.vector.co.jp/authors/VA002416/teraterm.html)
무료 - 사용이 좀 불편(SSH지원을 위해선 Plugin을 별도 설치해야함)
TTSSH(ssh plugin) - http://www.zip.com.au/~roca/ttssh.html
반응형
'Diary > Dia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두뇌발달,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? (0) | 2008.12.09 |
---|---|
토마스와 친구들~~ (0) | 2008.12.08 |
[Linux]Apache Web Server Troubleshooting - 2 (0) | 2008.12.04 |
[Linux]Apache Web Server Troubleshooting - 1 (0) | 2008.12.04 |
목표를 향해 가는 중 (0) | 2008.12.03 |